사업장(개인,법인) 4대보험 상실신고 인터넷 신고방법(건강,연금,고용,산재)
사업장(개인, 법인)에 직원(근로자)이 퇴사 했을때 4대보험 자격상실신고(건강,연금,고요,산재)를 해야합니다. [건강보험 EDI]를 활용하여 4대보험 자격상실신고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장(개인,법인) 4대보험 가입되어 있는 직원(근로자)이 퇴사를 하면 4대보험 신고기한 이내에 상시신고를 해야합니다. 건강보험은 자격상실일로부터 14일 / 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은 퇴직한 달의 다음달 15일까지 입니다. 고용산재보험 같은경우 신고기한 내에 하지못했을때 지연신고에 대한 과태료가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4대보험 상실신고 신고기한 건강보험 상실일로부터 14일 이내 신고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퇴사한 달의의 다음달 15일까지 신고 1. [건강보험EDI 홈페이지] →[로그인]→자주쓰는서식[자격..
2023. 10. 23.
사업장(개인,법인) 4대보험 자격취득 인터넷 신고방법(건강,연금,고용,산재)
사업장(개인, 법인)에 신규직원이 입사 했을때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건강,연금,고요,산재)를 해야합니다. [건강보험 EDI]를 활용하여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는 공통(건강,연금,고용,산재)신고로 일괄적으로 한꺼번에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는 사업장(개인,법인)에 신규직원(근로자)이 입사를 했다면 4대보험 신고기한 이내에 4대보험 자격취득신고를 해야합니다. 건강보험은 근로자 채용 후 14일 / 국민연금,고용보험,산재보험은 근로자 채용 후 다음달 15일까지 입니다. 고용산재보험 같은경우 신고기한 내에 하지못했을때 지연신고에 대한 과태료가 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4대보험 신고기한 건강보험 근로자 채용 후 14일 이내 신고 국민연금, 고용..
2023. 10. 23.